일기/짧은 생각

데우스 엑스 마키나

사시나무... 2014. 10. 21. 00:55

deux ex machina

Dates from ancient Greek times, where "deus ex machina" ("god from the machine") in a play referred to the act of lowering a god on stage using a cable device (therefore, a god from a machine) to decide in a dilemma and give fate a nudge, so to say.

These days, deus ex machina has the negative connotation of an utterly improbable, illogical or baseless plot twist that drastically alters the situation, as if the "deus ex machina" came down to give fate that little push.
I liked the movie, but the ending was total crap...they could've come up with a better way to beat the villain than the deus ex machina ending of that guy miraculously coming back to life.
- 내가 져아하는 어반 딕셔너리의 설명

이 클리셰를 까기 위해 아리스토텔레스가 만든 개념이 바로 데우스 엑스 마키나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 15장에서 쓰기를 "두 사건이 이어서 일어날 때는 후자가 전자의 필연적 또는 개연적 결과라야 한다. 따라서 사건의 해결도 플롯 그 자체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중략) ...'기계 장치(machina (마키나))'에 의존해서는 안 됨이 명백하다" 라고 했다.[6] 로마의 시인인 호라티우스도 같은 취지의 말을 했다.
-엔하위키 미러